전체 글

매우 솔직한 나의 근황을 적어보겠다... 1. 취업이 매우 힘들다! 내팽개치고 나온 회사가 그리워질 정도로...(?)전체적으로 취업 시장이 어려운 것도 맞지만, 내가 뭔가를 잘못하고 있나...? 싶기도 하고 여러모로 걱정이 너무 많다. 얼른 경력을 쌓고 시간을 쌓아 내 목표에 조금이라도 가까워지고 싶지만 참 쉽지가 않네요...ㅎ ㅎ 2. 그러다 xx대학교 사범대학 조교로 일을 하게 되었다. 이유는 영원히 놀수만은 없었기 때문이다. 물론 취업 준비를 하며 놀면서 시간을 보낸 것은 아니지만, 금전적인 문제와 더불어... 취업 스트레스를 온전히 받는 것이 과연 좋을까? 라는 생각도 들었다. 취업에 대한 부담과 집착이 느는 것은 내가 그만큼 직장을 원하기 때문에 절실해지는 것이다. 그러니 뭐라도 하면서 조금은..

자, 저는 그것이 사람이었든 물고기였든 혹은 네시였어도 상관없어요. 중요한 건 그가 저한테 한 번 더 살 수 있는 기회를 주었고 저는 집에 가서 엄마를 돌보며 필사적으로 돈을 벌고 재계약에 성공해야 한다는 사실뿐이에요. 다음에는 정말 이런 일이 있으려야 있을 수도 없겠지만, 또다시 물에 빠진다면 인어 왕자를 두 번 만나는 행운이란 없을 테니 열심히 두 팔을 휘저어 나갈 거에요. 헤엄쳐야지 별수 있나요. 어쩌면 세상은 그 자체로 바닥없는 물이기도 하고. 가끔은 곤이 무면허 운전으로 사 갖고 오기도 했으나 그걸 먼져 펴보는 일은 없었다. 곤은 자신이 언제부터 시간의 흐름과 무관하게 살아왔는지를 헤아리지 않았다. 비좁은 세상을 포화 상태로 채우는 수많은 일들을 꼭 당일 속보로 알아야 할 필요가 없으며 시대에..

1. 카카오 로그인 방법 수정- 원래 구현한 방법은 프론트에서 인가코드 요청 후 인가코드를 백엔드로 전달하여 백엔드에서 이를 활용해 액세스토큰을 받아쓰는 방법이었는데,- 프론트에서 백엔드로 전하는 과정에서 "탈취 위험성"이 있기에- 아예 백엔드에서 인가코드 요청 및 액세스 토큰 발급까지 완료하도록 방법을 수정하였다. 나름대로 보안 대책(HTTPS 적용, POST 방식, 백엔드에서만 액세스 토큰 요청)이 있기는 한데, 아예 백엔드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더 간단하기도 하고 편해서 그렇게 하기로 결정했다. Spring Security OAuth2 Client + JWT 발급 흐름1) 사용자가 /oauth2/authorization/kakao 등으로 SNS 로그인 시도2) Spring Security가 인가 ..


이번주부터 일을 시작해서 적응기간을 가졌다....일집뻗 일집뻗 반복하여 겨우 정신을 차리니 일요일..^^;;조금이라도 작업 해보고자 일어남 ㅠㅡㅠ 1. 일관된 반환 형식 정리ResponseWrapperDto ErrorResponse https://hehesim.tistory.com/318 ResponseWrapperDto와 ErrorResponse - API 응답프로젝트 API를 개발하다보니 API 응답에 대한 뭔가 체계적인 방법을 찾고 싶었다. 그래서 열심히 서치하며 정리를 해보았다. 일단 결론만 보자면, ResponseWrapperDto : 전반적인 응답에 대한 공통hehesim.tistory.com 2. 카카오 로그인 구현 - 프론트에서는 카카오에 로그인 요청을 하고 인가코드를 받아 redire..

프로젝트 API를 개발하다보니 API 응답에 대한 뭔가 체계적인 방법을 찾고 싶었다. 그래서 열심히 서치하며 정리를 해보았다. 일단 결론만 보자면, ResponseWrapperDto : 전반적인 응답에 대한 공통 포맷ErrorResponse : 에러 상황에 대한 구체적 응답 포맷ErrorCode : 에러의 종류별로 상태/코드/기본 메시지를 모아둔 EnumFieldError : 유효성 검증 실패 등에서 발생하는 구체적 필드단위 에러정보를 담기 위한 서브클래스 이 네가지를 구분해서 만들었다. 그 이유는 !?!??-> API 응답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일관된 형식으로 제공하려고 ! 더 자세히 살펴보겠다. 1. ResponseWrapperDto: 정상 응답을 감싸는 공통 DTO. package com.ex..


1. 빌드 오류 해결 git에서 pull 받아온 소스코드로 빌드하기. 지난 번에 git에서 pull 땡겨와서 빌드를 하는데 계속 이러한 오류가 났다. Build failed with an exception* What went wrong: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 Error while evaluating property 'javaCompiler' of task ':compileJava'. > Failed to calculate the value of task ':compileJava' property 'javaCompiler'. > Toolchain installation '/usr/lib/jvm/java-17-amazon-corretto.x8..


아주 다양한 오류들을 마주쳤다... = 내가 성장하는 과정잊지 않도록 기록하기 나의 현재 상황은 Nginx로 SSL 인증서는 받았고, 도커 이미지로 업로드하다가 HTTPS 적용이 어려워서 결국 Docker Container로 Nginx 서버와 Backend 서버를 함께 올리기로 함. 그리고 이를 위해 github에 올리고, 해당 소스를 EC2 인스턴스에서 받아 docker compose up 하기로 함.1. 첫번째 오류깃에서 pull 받고 빌드 해보는 과정에서 이러한 오류가 났다. RefrigBackendApplicationTests > contextLoads() FAILED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t 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


컨디션이 좋지 않아서 늦게 작업 시작했다 ㅠㅠ 1. HTTPS 적용을 위해 Nginx+ ssl 인증서 적용중.하다보니 docker compose로 설정하는 중인데,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ci cd 플로우까지 흘러감...ㅠ쥬륵 왤케 어렵니~~~~ 인스턴스에 자바 설치하고, git clone 해서 docker compose up으로 하려는데 여기서도 build가 안되는 문제가 생김 ㅠ 고로 내일 다시 도전~~~~!


1. 계속 나던 DNS_PROBE_FINISHED_NXDOMAIN 오류 드디어 해결~~~~ AWS Route53 포기하고, 그냥 가비아 측에서 DNS 레코드 설정을 해주었다. route 53은 삭제함. 계속 됐다가 또 안되고 그래서 답답했는데 뭔가 이리저리 만지다 보니 계속 충돌이 났나 싶다..AWS에서 수정했다가, 또 가비아에서 수정했다가 그러다보니 사이트 접속이 가능했다가 안됐다가 했나 싶다.그거랑, yml 파일에서 ddl-auto 를 create로 했던 걸 update로 고쳤다. 이게 문제였었나 싶기도 함...무튼 드디어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게 되었다~~~야호 2. https 설정을 위해 nginx를 이용해 ssl 인증서 적용Invalid response from ~/.well-known/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