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Network


1. 인터넷 네트워크인터넷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들이 어떻게 통신할까? 2. IP (인터넷 프로토콜)서로 다른 컴퓨터들이 통신하기 위해 IP 주소를 부여한다.-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 IP 패킷 정보에는 출발지 IP, 목적지 IP등과 함께 전송 데이터를 넣어 전달한다. 3. IP 프로토콜의 한계 1)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2)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지거나 (패킷 소실),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 경우3) 프로그램 구분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여러 개의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경우 구분이 어렵다. ==>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주는 게 바로 TCP 프로토콜! 4..


1. Serialization - 직렬화 : 메모리 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형태로 바꾸는 작업. Heap 메모리 내에 표현되어 있는 데이터는 읽을 수 없는 형태로 저장되어 있다.. >> 읽을 수 있는 글귀로 형식에 맞춰 표현하는 것을 직렬화라고 한다. - JSON (JavaScript Object Notation) : Lightweight data-interchange format.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표현 방식. - JavaScript 객체를 표현하는 방식에서 그 문법을 차용. - 중괄호 내부에 Key-Value쌍을 콜론으로 구분. - 사람이 읽고 쓰기 쉬움 / 기계가 파싱(해석)하고 만들기 편함 - 거의 대부분의 API 통신에서 사용. 2. @RequestMappin..


1. OSI와 TCP/IP 1) 물리 계층 : 전기적,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 - 케이블 (전기를 보내 전압차로 0과 1을 전달) - 리피터 (신호의 조작없이 더 먼곳에 신호를 전달) 2)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는 두 기계(Node)사이의 연결 계층. - 각 기계 사이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 - 물리 계층의 오류를 감지, 데이터 재전송 - 데이터 전달을 위해 MAC 주소를 사용. 3) 네트워크 계층 : Node와 Node는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이룸. > 이런 Node의 네트워크 내부의 데이터 전송. - 데이터의 크기를 조정하기도 함. ** IP (Internet Protocol) : 두 컴퓨터 사이에 연결된 노드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 인터넷 통신 💻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 - HTTP, FTP 웹 브라우저, 네트워크 게임, 채팅 프로그램 SOCKET 라이브러리 1. 프로그램이 Hello, world! 메시지 생성 2.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전달 전송 계층 - TCP, UDP OS (TCP, UDP / IP) 3. TCP 정보 생성, 메시지 데이터 포함 4. IP 패킷 생성, TCP 데이터 포함 인터넷 계층 -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LAN 드라이버/ LAN 장비 LAN 카드 ---인터넷 --> 서버 🚩 IP (Internet Protocol) : 지정한 IP 주소 (IP Address)에 데이터 전달.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 IP 패킷 정보 (출발지 I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