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탄력적 IP (Elastic IP, EIP) 주소,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NI)
배포를 위해 EC2를 생성하던 중에 탄력적 IP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그래서 찾아보게 된 탄력적 IP !
1. Elastic IP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elastic-ip-addresses-eip.html
탄력적 IP 주소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AWS의 사용자 가이드에서 참고한 결과
한 마디로 탄력적 IP 주소는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이다.
즉, 클라우드 환경에서 인스턴스의 IP 주소가 변경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변하지 않는 IPv4 주소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 EIP는 정적이며 시간이 지나도 변경되지 않는다.
- 특정 리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 AWS 계정에 주소를 할당한 후 인스턴스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결한다.
우리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는 이유 중에는 유연한 환경을 위해서, 돌발 상황에 대비하여 사용한다는 점이 있다.
이때 우리가 사용하는 EC2 인스턴스의 Public IP는 고정된 주소가 아니라, 동적인 IP 주소이다.
즉, 인스턴스를 껐다가 다시 실행하여 켜면 Public IP 주소는 변경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만약 DNS 시스템에 해당 인스턴스 IP 주소를 연결해두었다가 인스턴스가 꺼지고 다시 실행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IP 주소가 변경되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력적 IP를 생성해 인스턴스 IP 주소가 바뀌더라도 문제없이 해당 인스턴스에 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EIP를 연결할 때 인스턴스에 따라오는 ENI에다가 달아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이때 또다시 ENI는 무엇인가!?? 하는 궁금증이 따라왔다.
2.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ENI (Elastic Network Interface)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using-eni.html#eni-basics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탄력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Elastic Network Interface)는
VPC에서 가상 네트워크 카드를 나타내는 논리적 네트워킹 구성 요소라고 한다.

내가 이전에 정리해둔 것을 참고했다. 이 용어가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에서 나왔다.
즉, 물리적 개념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예시는 LAN 카드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를 가상으로 만든 것이 바로 AWS의 Elastic Network Interface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상 서버(EC2 인스턴스)에 연결하여 인스턴스 간 통신 및 인터넷과의 통신을 관리할 수 있다.
- 각 인스턴스는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라는 기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는다. 추가로 보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연결할 수도 있다.


실제로 내가 EC2를 생성하고 나니 Network Interfaces 란에 새로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생성되었다. 그리고 이는 내가 생성한 EC2와 연결되어 있었다.
아하~~~!~!
3. Elastic IP 생성 및 연결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ENI에다 Elastic IP를 생성하고 연결할 수 있나요!?
AWS EC2 보드 내에서 Elastic IPs 를 찾을 수 있다.
1) 여기서 Elastic IP 주소 할당을 누른다.

2) 현재 리전으로 세팅되어 있고 할당 버튼을 누르면 된다.

3) 탄력적 IP 주소 연결 클릭하여 EC2와 연결해준다.

4) 현재 사용중인 EC2 인스턴스 선택하고, Private IP 주소도 선택해준다.

짠!! 이렇게 인스턴스의 Public IPv4 주소가 탄력적 IP로 설정이 되었다.


** 주의할 것!!! Elastic IP를 설정한 상태에서 연결된 인스턴스를 중지시켜놓게 되면 과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주의할 것!! 꼭 탄력적 주소 연결 해제를 하여 인스턴스에 연결된 EIP를 해제하자!
'Programming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url errors (28) Timeout (0) | 2025.02.17 |
---|---|
[AWS] AWS EC2에 접속하기 / UNPROTECTED PRIVATE KEY FILE 오류 (0) | 2025.02.17 |
S3 버킷 + cloudfront (0) | 2024.05.29 |
3과목 데이터베이스 구축 데이터 전환 121 ~ 126 (2) | 2024.02.05 |
AWS 배포 -(5) HTTPS 적용하기 (0) | 2024.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