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초 공부

2023. 11. 17. 13:27
728x90

what is git?

: 분산 버전 관리 도구.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점을 기록.

최초의 원본은 변경점들을 다시 확인하면 알 수 있음.

 

- 서버에는 원본 버전을 저장

- 각각의 개발자도 전체 버전을 저장

- 자신이 기여한 내용을 서버로 전송

 

GOOD

인터넷 연결이 없이도 개발 진행 가능

중앙 저장소가 삭제되어도 원상복구 가능

 

** Github

: Git 호스팅 서비스.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저장하는 공간을 마련해주는 서비스.

 

 

1. Git 설치하기

2. 사전작업 (깃 설치 후 자신이 누군지를 설정하는 작업)

git config --global user.email "ooo@naver.com"
git config --global user.name "name"

- git : git을 사용하는 명령어

- config : git 설정 명령어 

- --global : 프로젝트와 상관 없이 이 컴퓨터에 대하여

- user.email : Git 사용자 email

- user.name : Git 사용자 이름

 

3. Git으로 버전 관리

git init
git status

- git init : 이 폴더를 project로 관리하겠다.

- git status : 현재 프로젝트의 상태 보겠다. 

 

4. 폴더 내에 새로운 파일 추가 후 git status로 확인

>> 원래 상태와 비교 후 새로 추가된 파일이 뜬다. 

 

5. git add "파일명" >> git status로 상태 확인

git add
git add --all
git add : 어떤 파일을 작업 이력으로 기록할 준비
git add --all : 수정한 파일 전체 add

 

그랬더니 changes to be committed (이전과의 비교 후 commit될 것들 보임)

 

6. 커밋하기 > 이후 git status로 확인

git commit -m "메시지입력"

git commit : add된 파일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변경사항(작업)을 기록

commit  확인 완료~~

 

파일 변경 상태

 

* 올리지 않을 파일을 .gitignore 파일로 설정 가능

 

7. 작업 이력(commit) 확인하기

git log
git log --oneline

- git log

- git log --oneline : 깃 이력 간략하게 보여주기

 

8. 되돌리기

1) git add 하기 전이라면 git restore 

git restore <파일이름>

 

2) git add 진행 이후 :  git restore --staged 

git restore --staged <파일이름>

add 이전으로 돌아간다.

 

3) git commit 진행 이후 : git reset 명령어 사용

git reset <목표상태>

파일 상태는 그대로 있고, 커밋 자체를 없앰.

 

728x90

'Programm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내 프로필 README.md 만들기  (0) 2023.11.17
Github와 내 Git 연결하기  (0) 2023.11.17
Markdown 마크다운  (0) 2023.11.16
프로젝트 회고  (0) 2023.10.20
트러블슈팅  (2) 2023.10.07

BELATED ARTICLES

more